본문 바로가기

文學과 藝術의 뜰

구본주 전시회 감상


미술에 대해 전혀 알지 못하지만, 뭔가 이 구본주 작가의 작품을 보면서

대학시절 기형도를 처음 접했을 때 생각이 났다.


어린 나이에 요절한 것도 비슷하고

80년대 민주화항쟁의 소용돌이에서 어쩔땐 중심부에서, 어떨 땐 주변부에서

정치적 고뇌와 예술적 미학 속에서 부둥켜 안았던

두 명석한 천재가 떠올랐던 것이다.


우리 집사람이 요즘 대세라는 '개념 미술'보다 나는 이런 위트있으면서도

뼈있는 메시지를 전달하는 이런 작품들이 아직은 더 많이 와 닿았고,

확실히 기형도의 향기를 느끼니까 더 반가운 면이 있었다.


아래 작품 카테고리는 구본주씨의 연대기별로 보면 중기 -> 초기 -> 말기로

편집한 것이며, 내용상으로는 '현대 샐러리맨의 일상' -> '노동과 시대정신' -> '생활과 일상의 위트'

형식으로 구분했다. 이는 전시 카테고리와 어느 정도 비슷하지만, 내 느낌대로 다시 정리한 부분도 있었다.



아래 전시관에서 적어놓은 구본주에 대한 평을 옮여 온다.


---------------------------------------


살아있는 구본주


성곡미술관은 작고작가재조명전, <세상을 사랑한 사람, 구본주>를 개최한다. 이번 전시는 2003년, 37세의 나이로 안타깝게 세상을 떠난 청년 조각가 구본주를 추모하고자 기획되었다.


성곡미술관 전관과 옥외공간 일부에 걸쳐 마련한 이번 10주기 추모전은 구본주가 고교시절부터 작고 직전까지 제작했던 많은 작품 중, 90여점을 엄선하여 일반에 소개한다. 주지하다시피 대한민국 현대 미술에 있어 구본주 특유의 '구상 표현 조각'은 누구도 부정할 수 없는 지대한 역할을 하였다.


구본주와 그의 작품을 기억하고 기리는 의미 있는 기회가 될 이번 <세상을 사랑한 사람, 구본주>展은 작가들에게는 긴장과 깨달음을, 현대 사회 속에서 삶의 좌표를 쉽게 잃어가며 정채성을 찾지 못하는 일반인들에게는 한 예술가의 전기를 넘어 작가가 사회를 바라보았던 시선을 공유하고 동시대를 새롭게 인식하는 좋은 기회로 작용할 것이다.


구본주는 1980년대 말 대한민국의 정치, 사회적 격랑과 척박한 생산 현장에서 만난 노동자들의 주름과 구겨진 삶의 풍경을 놀라우리만큼 직설적인 감각으로 진솔하게 빚어내었다. 이른바 '현실주의(realism) 조각'의 대표 주자로서 작품성 뿐만 아니라

우리네 삶, 역사, 정치, 사회, 가족, 현실 이슈 등에 대한 뚜렷한 시대정신을 모티프로 진보적인 예술가의 풍모와 장인적 기질을 가감없이 보여주었다.


이번 전시는 그의 20여년에 이르는 짧고도 긴 작업 여정을 3개의 부문으로 나누어 구성했다. '세상 - 역사/시대정신 (1986~1994)', '사람 - 사회/현실비판(1992~1997)', '사랑- 삶/현실(1997~2003)'등이 그것이다. 치열한 작업 정신과 그의 삶이 분명하게 살아있는 포천 작업실의 작품들로부터 국립현대미술관, 모란미술과, 성곡미술관등 국내 미술관과 개인이 소장하고 있는 주요 작품들이 모처럼 한 자리에 모였다.'세상', '사람', '사랑'이라는 세 개의 키워드로 마련한  이번 전시는 불같은 삶을 살아간 구본주의 짧은 생을 꼼꼼히 돌아보는 자리가 될 것이다. 이미 널리 알려진 그의 대표작품들 이외에도 그 동안 접할 기회가 많지 않았던 에스키스와 영상 등 작가의 미공개 작품과 자료, 평소 사용했던 작업 도구들도 함께 소개되어 구본주의 인간적인 면모를 새롭게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노동자와 서민들의 구겨진 삶과 삶의 주름을 어루만지던 구본주의 따스하 호흡이 전시장에 가득하다. 이번 추모전은 작가가 살아 생전에 견지했던 날카로운 현실인식과 길지 않은 시간 동안 치열하게 불사른 예술혼과 땀내음이 진하게 묻어나는 뜻 깊은 자리가 될 것이다. 많은 관심과 성원을 부탁드린다.


이렇듯 이번 전시는 한국현대미술사에 뚜렷한 발자취를 남긴 구본주와 그의 작품을 재조명하며 대한민국의 여러 미술인뿐 아니라, 일반 대중에게 그의 존재와 작업적 성과를 널리 소개하는 등, 그의 열정을 오늘에 되새기고자 마련되었다. 또한 궁극적으로 한국 미술의 창작지형을 건강하고 균형 있게 다지는 동시에 침체된 한국 조각계에 활력을 불어넣기 우해 기획되었다.


이번 전시가 현대 대한민국 미술계에서 가희 소외장르라 할 수 있는 조각이 제대로 주목받으며 다양하고 편중 없는 동시대적 미술 지형은 물론, 한국 미술의 균형있는 성장, 발전에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 현실에 무릎 꿇지 않고 끊임없이 노력하며 작가로서의 자신만의 중심을 확고히 잡고 흔들리지 않았던 그의 집념은 현재 조각을 전공하고 있는 미술학도뿐 아니라 여러 동료 작가들, 오늘을 살라내는 우리에게도 힘가 귀감이 될 것이다.